퇴행성관절염

 

오늘은 노화의 대표적인 질환 중 하나인 퇴행성 무릎 관절염에 대해서 포스팅 하려고 합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무릎에 대해서도 건강을 챙겨야 한다는 생각이 절로 들더라구요. 제 주변인도 무릎 관절염으로 고생을 하는데요 보고 있으면 너무 안타까운 마음이 듭니다. 지금부터 무릎 관절염의 원인과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해요.

 

 

 

 

 

무릎 관절염의 종류와 원인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퇴행성관절염 관절

 

 

1) 화농성 관절염

 화농균 감염이 발생원인인 되는 질환입니다.

 

2) 류마티스성 관절염

원인불명, 자가면역이나 바이러스성으로 여겨지는 만성질환인데요, 여러 관절의 침범, 활액막, 관절구조의 염증변화, 뼈의 위축이 발생하며, 말기에는 뼈의 변형과 강직이 발생하게 됩니다.

 

3) 통풍성 관절염

팔다리 관절에 염증이 반복되며 발생되는 유전성 요산 대사의 이상으로 관절안이나 주변 조직으로 요산염이 쌓여서 발생되는 관절염입니다.

 

4) 퇴행성 관절염

관절염의 종류 중 발생 빈도가 높은 관절염으로, 관절을 덮고 있는 관절연골을 망가뜨리는 관절염입니다.

 

5) 외상후 관절염

외상 후에 발생되는 후천적인 관절염으로, 노화로 인한 퇴행성 관절염과는 구별됩니다.

 

 

 

 

 

무릎 관절염 중에 가장 발생 빈도가 높은 퇴행성 관절염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볼까요?

 

◎ 퇴행성 관절염이란?

  

퇴행성 관절염이란

 

 관절을 덮고 있는 연골이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점차 손상받거나, 퇴행성 변화로 관절과 골, 인대 등 조직에 손상이 일어나서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질환으로 보시면 되는데요,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관절염 중 발생 빈도가 가장 높은 질환입니다.

 

 

 

◎ 퇴행성 관절염을 발생시킬 수 있는 원인

 

 

퇴행성 관절염 연령

 

 

 

 

1) 연령

연령이 증가할수록 관절염의 발생 가능성이 높아지는 이유는 바로 노화입니다.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연골세포의 성장은 둔화되고 치유능력도 떨어지기 때문입니다. 그리고 근력도 약화되며 운동 능력도 저하되어 관절을 보호하는 기능이 떨어지고, 젊은연령에 비해서 외부의 충격에도 약할 수 밖에 없습니다. 발병 연령대는 65세 이상이 가장 많다고 보시면 됩니다.

 

 

 

 

 

 

관절염 여성

 

 

2) 성별

상대적으로 여성이 남성보다 취약한데 그 이유는 폐경 후 여성에게 퇴행성 관절염이 빠르게 증가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폐경 후 호르몬 변화가 관절염에 영향이 있을거라는 연구도 있었다고 하나 이것만으로 폐경 후 여성에게 상대적으로 발병이 더 많다고 설명하기에는 미흡한 부분이다 라는 의견도 많다고 합니다.

 

 

 

 

 

관절염 비만

 

3) 비만

퇴행성 관절염의 진행을 가속화 시키는 위험인자인데요, 아무래도 약해진 무릎이 과체중을 버티기엔 무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비만한 환자에게는 체중감량을 함으로 관절염의 완화와 진행 속도를 늦추는데 효과가 있다고 합니다.

 

 

 

 

 

관절염 운동

 

 4) 관절의 손상

반복적인 사용이나 움직임은 관절에 손상을 줄 수 있습니다. 무릎 사용이 과도한 스포츠나 레저 활동 그리고 직업적인 특성으로 인한 무릎 손상 등은 퇴행성 관절염이나 외상후 관절염을 유발하기 때문입니다.

 

 

 


◎ 퇴행성 관절염의 증상


- 무릎의 통증과 부종 및 강직 : 관절 주변으로 통증으로 붓기도 하며 뻣뻣함이 느껴짐
- 보행장애 : 무릎 관절에 변형이 생겨 걸음걸이가 이상
- 관절 운동 범위의 감소 : 다리를 구부리거나 펴는 각도나 움직임이 제한
- 탄발음 : 관절에서 '뚝'하는 소리

 

 

 

 

◎ 무릎관절염의 진단 및 검사

 

관절염 MRI

 

- 단순 방사선 촬영 : 가장 기본적인 검사로, 4가지 이상으로 촬영
- 동위 원소 검사
- 자기공명영상(MRI)

 

 

 

 

 

무릎 관절염 치료방법에 대해서 알아볼까요?

 

◎ 치료방법

 

1) 보존적 치료

 

퇴행성관절염 수영

 

 - 건강한 생활습관 및 체중감량, 그리고 운통을 통해 관절에 무리를 주지 않음으로 손상을 막아 관절염의 진행 속도를 줄이는 방법입니다. 특히 운동은 근력강화 운동과 유산소 운동을 병행하는 것이 좋으며, 무릎에 부담이 가지 않은 물에서 할 수 있는 수영이나 아쿠아로빅 등도 좋습니다.

 

 

 

2) 약물 치료

  

퇴행성관절염 진통제

 

-보통은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를 가장 많이 사용하지만, 통증이 심한 환자에게는 마약성 진통제를 사용하거나 관절내 스테로이드성 주사를 사용하기도 합니다. 이러한 약물은 부작용이나 상태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의사의 진단 및 판단하에 따라야 하겠죠?

 

 

 

3) 수술적 치료

 

관절염 인공관절치환술


 

 

- 관절경 수술

관절내시경을 사용하여 관절 내부를 보며, 염증을 세척하거나 활액막을 제거 또는 관절 내부에 붙어있는 조직들을 정리하여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방법입니다. 내시경을 사용하여 절개를 최소화함으로 수술부위 흉터가 작고 회복이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관절경 수술이 완치를 위한 수술은 아니며, 환자 상태에 따라 수술 효과는 다를 수 있습니다.

 

 

- 절골술

보통 60세 이하의 젊은 연령층에서 자기 관절을 보존할 수 있는 방법으로 시행되는 치료법으로, 퇴행성 관절염의 상태가 중등도 이하일 때 추천합니다. 물론 연령과 상관없이 퇴행성 관절염의 상태가 심각한 경우에는 고려 대상은 아닙니다. 절골술은 관절의 정렬을 바꿔줌으로 하중이 가해지는 부분을 변경시키고자, 인위적으로 다리를 골절시켜 진행하는 수술입니다.

 

 

- 인공관절 치환술

퇴행성 관절염의 상태가 심각하여 보존치료나, 다른 수술적 치료를 고려할만한 상황이 아닌 경우 시행되는 치료로,  본래의 관절을 제거하고 인공관절을 삽입하는 수술 치료법입니다. 효과적인 치료방법이지만, 인공관절의 수명때문에 60세 이상의 고령의 환자에게 추천하는 방법입니다.

 

 

 


오늘은 무릎관절염 중 퇴행성 관절염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도움이 되셨다면 하단의 공감버튼은 저에게 힘이 됩니다. 감사합니다.

 

 

 

 

 

 

 

 

 


 

블로그 이미지

olivestone

올리브스톤의 C드라이브입니다. 일상에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백업하였으니 알맞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