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나필락시스 원인 증상 예방법 알아보기

 

 

1. 증상

아낙필락시스 쇼크 증상은 특정 음식이나 물질에 노출된 후 30분 이내에 급성으로 몸에서 과민 반응을 일으키는 전신질환으로 나타나는 알레르기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많은 양에 노출되지 않더라도 소량의 물질만으로도 반응이 나타나기 때문에 빠른 응급처치나 즉각적인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습니다. 

 

흔히 나타나는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호흡곤란, 구토, 가슴통증, 기침, 피부발진, 의식혼미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그 중에 가장 위급한 증상은 호흡곤란으로 인한 의식 혼미 등이 같이 동반되는 경우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앞서 말씀드린 것처럼 즉각적으로 치료하여 회복한다면 큰 문제는 없지만, 치료가 늦어지는 경우에는 쇼크사까지 갈 수 있기 때문에 내 스스로가 어떤 특정 음식이나 물질에 알레르기 반응이 있는지 여부를 아시는 것도 중요한 예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원인

원인1. 땅콩 등 견과류로 인한 알레르기 

땅콩 등 견과류에는 있는 대두단백질 레시틴 등의 함유식품이 알레르기를 유발하는 원인이 됩니다. 흔히 미국 영화나 드라마를 보면 주인공이 땅콩 알레르기가 있어 해당 재료가 포함된 음식을 피하는 경우를 종종 보셨을 겁니다. 그만큼 땅콩 알레르기는 알레르기 질환 중에 가장 흔한 알레르기 증상이기도 합니다.

 

땅콩 알레르기가 있는 사람의 경우에는 단백질을 제거한 가공된 식품을 섭취할 경우에는 알레르기 반응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는 점을 참고 하시면 좋겠습니다. 

 

 

땅콩을 포함해서 호두, 아몬드 등의 견과류과 이러한 재료가 포함된 음식, 간장이나 된장 등 콩으로 만든 장류, 두부, 두유, 대두가 함유된 가공식품 등을 피하시면 알레르기가 있는 분이라면 피해야 하는 대표적인 식품들이니 참고해주세요.

 

 

 

원인2. 우유

우유에 포함된 단백질에 대한 이상반응으로 나타나는 알레르기 증상으로 구토나 설사,  심한 경우에는 탈수나 쇼크 증상을 일으키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우유를 먹지 않으면 이러한 증상은 없어진다고 합니다. 하지만 다시 우유를 마셔서 48시간 내에 다시 증상이 나타난다면 우유 알레르기가 있다고 보아도 무방하오니, 이런 증상을 보인다면 섭취를 중단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겠죠?

 

 

 

원인3. 새우 등 갑각류 알레르기

새우 등에 포함된 단백질이 원인이 되어 나타나는 알레르기로, 설사나 호흡곤란 등이 나타나며 심한경우에는 목과 기도 등이 붓게 되어 쇼크증상이 발생된다고 합니다. 특히 기도가 붓는 증상으로 호흡이 어렵게 된다면 무서운 결과를 초래할 수 있기 때문에 조심하는게 좋겠습니다.

 

 

 

원인4. 달걀 알레르기

닭, 오리, 거위, 칠면조알에서 볼 수 있는 알레르기로, 이 또한 단백질에 이상반응하는 알레르기 증상입니다. 달걀 알레르기의 경우에는 보통 소아에게 나타나며 성인이 되어 그 증상이 완화되거나 없어지는 경우가 많다고 합니다. 하지만 성인이 되어서도 알레르기 증상이 지속되는경우도 있기 때문에 주의하셔야 합니다.

 

 

원인5. 벌 등 곤충에 쏘이거나 물려서 발생되는 알레르기

곤충 알레르기로 주로 벌이나 개미에 쏘이거나 물려서 나타는 경우가 많은 알레르기 증상입니다. 심한 알레르기는 증상은 바로 벌에 쏘여서 나타나는 가장 심한 알레르기 반응이 아나필락시스입니다. 즉 아나필락시스 반응이 가장 크게 나타나는 경우가 벌에 쏘였을 경우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래서 아나필락시스가 발생했을 경우 가장 중요한 치료법이 바로 에피네프린이나 항히스타민제 등을 사용하여 응급처리를 하는 것입니다. 특이 벌에 쏘이는 경우는 성묘철에 벌초를 하다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시기에는 항상 조심하셔서 벌에 쏘이지 않도록 하시고, 쏘였을 경우에 증상이 미미하더라고 병원에 방문하시는 것이 좋을 듯합니다.

 

 

 

원인6. 약물에 의한 알레르기

모든 약물에는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킬 수 있는 원인을 갖고 있습니다. 특히 병원에서 CT(컴퓨터 단층촬영)시 사용되는 조영제, 항생제, 소염제 등과 혈액(혈장) 등에도 아나필락시스를 일으키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병원에는 조영제 사용시 나타날 수 있는 부작용이나 이상반응에 대해서 설명을 해주는 경우는 많이 경험해 보셔서 아실 겁니다.

 

예전에 저는 혈장교환을 할때 나타날 수 있는 이상반응에 대해서 의료진으로부터 설명받았던 기억이 있습니다. 혈장교환을 받을때, 심한 이상반응은 없었느나 몸에 열이 발생하는 느낌이 났던 기억이 있습니다. 다행히 큰 문제는 없어서 무사히 혈장교환을 받았습니다.

 

 

2021년 2월 26일부터 우리나라도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시작됩니다. 오늘 질병관리청 정은경 청장의 발표문을 보니 코로나19 백신으로 나타날 수 있는 아나필락시스에 의료기관은 대응체계를 마련했다고 전해주시는 것을 보았습니다. 백신을 두고 이야기가 많고 혼란스러운 상황이지만 무사히 백신을 접종하여 국민들이 코로나19로부터 안전해지는 날이 왔으면 좋겠다는 간절한 마음이 큽니다.

 

 

 

블로그 이미지

olivestone

올리브스톤의 C드라이브입니다. 일상에 필요한 유익한 정보를 백업하였으니 알맞게 이용하시기 바랍니다.

,